가비지 컬렉션
가비지 컬렉션 가비지 컬렉션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의 하나로 사용자가 메모리를 관리하는 기법이 아닌 가비지 컬렉터에게 메모리 관리를 맡기는 방법이다. C언어 같은 경우 malloc으로 할당한 메모리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free를 통해 임의적으로 할당 해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메모리 관리를 사용자에게 맡기는 경우 메모리 누수가 생기거나 해제한 메
가비지 컬렉션 가비지 컬렉션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의 하나로 사용자가 메모리를 관리하는 기법이 아닌 가비지 컬렉터에게 메모리 관리를 맡기는 방법이다. C언어 같은 경우 malloc으로 할당한 메모리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free를 통해 임의적으로 할당 해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메모리 관리를 사용자에게 맡기는 경우 메모리 누수가 생기거나 해제한 메
Tomcat 부팅속도 너무 느린문제tomcat을 여러번 stop & start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 connection이 실패 했다..? -> tomcat이 사용하는 8080과 사용하는 것 같은 다른포트들은 열려있는데 정작 톰캣 서버포트인 300
백준 2048 문제는 2048 게임을 간단하게 시뮬레이션 해보는 문제이다. -> 왼쪽, 오른쪽, 위, 아래의 방향으로 움직였을 경우 숫자들이 합쳐지는 것만 구현한다면 dfs로 그리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단순히 생각대로 위, 아래, 오른쪽, 왼쪽 함수
백준 째로 탈출은 10번이라는 횟수의 제한 안에 파란 구슬을 빼지 않으면서 빨간 구슬을 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문제이다. bfs를 통해서 현재 빨간 구슬, 파란구슬의 위치에 대해 상,하, 좌,우 움직인 좌표가 어디인지를 확인해 나가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백준 3190 뱀은 도스 뱀 게임을 구현하는 문제이다. n*n의 맵이 있다고 가정하고 0,0의 배열의 위치에서 뱀이 시작했을 때 과연 뱀이 몇초후에 죽는지 출력하는 문제이다. 방향 전환 정보와 사과의 위치 정보가 주어지게 되는데 이 뱀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list
백준 테트로미노는 n * m 배열에 적혀 있는 숫자에 도형을 넣은뒤 도형이 놓여지는 숫자들의 합이 최대로 되게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단순히 도형 하나씩을 넣어보면 되기 때문에 빈틈없이 꽉 채우는 타일링 문제보다 쉬운 것 같다. 먼저 0,0을 기준으로 도형의 상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