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 Linked List
Linked List는 노드 들간의 연결된 포인터들로 구성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과 같이 원소가 선형으로 저장된다는 특성이 있지만 배열과는 달리 중간에 원소의 삽입 삭제가 가능하고 중간에 있는 원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Head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해서 찾는 방식을 취할 수 밖에 없다. 배열과 Linked List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Linked List는 노드 들간의 연결된 포인터들로 구성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과 같이 원소가 선형으로 저장된다는 특성이 있지만 배열과는 달리 중간에 원소의 삽입 삭제가 가능하고 중간에 있는 원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Head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해서 찾는 방식을 취할 수 밖에 없다. 배열과 Linked List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Database Index1. 인덱스란?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Full-Scan, 인덱스를 통한 검색이 가능하다. DB의 데이터는 삽입된 순서로 정렬되지 않은 형태로 물리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인덱스가 없을 경우 Full-Scan을 통해 자료를 찾아야 하는 비용 발생이 생긴다. n의 시간이지만 데이터가 수억 단위를 넘어가면 효율이
JavaScript 스코프 JavaScript에서 스코프란 변수가 어느 지역에서 유효한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JavaScript는 함수를 기반으로 설계 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함수 레벨의 스코프를 따르게 되는데 이는 C++, JAVA의 변수 유효범위와는 차이를 보인다. 123456789void getArea(bool condition,i
Request Node js에는 Request라는 모듈이 있어 아주 간단하게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다. 기본적으로 Node js가 제공하는 http 모듈을 더욱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 더욱 짧은 줄로 간단하게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다. 1npm install --save request 먼저 request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npm을 통
Node js 동작 원리 Index1. Node js 란?2. Node js 동작 원리 1. Node js란?Node js 는 구글의 크롬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네트워크 서버이다. Single Thread 기반의 Event Loop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File, Network 등에 대해서 비동기 IO 처리를 하는 서버 미들웨어이다
프로젝트 관련 질문**만약 해보지 않았던 거라도 지금 내가 알고있는 것으로 지금이라면 어떻게 하겠다고 이야기 하기. 왜 Node js를 사용하였나?? -> 과거에는 각 api를 하나의 jsp 파일로 만들어서 처리하였다. 이는 매우 불편하고 생산성이 떨어졌고 Node js를 사용하면서 생산성이 많이 향상되었다. 또 npm으로 모듈을 쉽게 관리할 수 있
Multer를 이용한 파일 올리기프로젝트 모듈에 multer를 추가한다. 1npm install --save multer Node의 해당 프로젝트로 이동하여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multer 모듈을 설치한다. 2. 서버의 요청에 사용할 Api를 만든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var express = req
Welcome to Hexo! This is your very first post. Check documentation for more info. If you get any problems when using Hexo, you can find the answer in troubleshooting or you can ask me on GitHub. Quick
Tomcat 부팅속도 너무 느린문제tomcat을 여러번 stop & start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 connection이 실패 했다..? -> tomcat이 사용하는 8080과 사용하는 것 같은 다른포트들은 열려있는데 정작 톰캣 서버포트인 300
백준 2048 문제는 2048 게임을 간단하게 시뮬레이션 해보는 문제이다. -> 왼쪽, 오른쪽, 위, 아래의 방향으로 움직였을 경우 숫자들이 합쳐지는 것만 구현한다면 dfs로 그리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단순히 생각대로 위, 아래, 오른쪽, 왼쪽 함수
백준 째로 탈출은 10번이라는 횟수의 제한 안에 파란 구슬을 빼지 않으면서 빨간 구슬을 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문제이다. bfs를 통해서 현재 빨간 구슬, 파란구슬의 위치에 대해 상,하, 좌,우 움직인 좌표가 어디인지를 확인해 나가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백준 3190 뱀은 도스 뱀 게임을 구현하는 문제이다. n*n의 맵이 있다고 가정하고 0,0의 배열의 위치에서 뱀이 시작했을 때 과연 뱀이 몇초후에 죽는지 출력하는 문제이다. 방향 전환 정보와 사과의 위치 정보가 주어지게 되는데 이 뱀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list
백준 테트로미노는 n * m 배열에 적혀 있는 숫자에 도형을 넣은뒤 도형이 놓여지는 숫자들의 합이 최대로 되게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단순히 도형 하나씩을 넣어보면 되기 때문에 빈틈없이 꽉 채우는 타일링 문제보다 쉬운 것 같다. 먼저 0,0을 기준으로 도형의 상대적